티스토리 블로그에서 "ads.txt 찾을 수 없음" 오류를 해결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라주세요.
✅ 1단계: ads.txt 파일 생성하기
- Google AdSense에 로그인하여 게시자 ID를 확인합니다.
- 경로: 계정 > 계정 정보
- 예시: pub-1234567890123456
- 아래 화면에서 자신의 <티스토리 url>을 클릭합니다.
- google.com, pub-1234567890123456, DIRECT, f08c47fec0942fa0
이 부분이 나오면 <복사하기> 클릭. - 텍스트 편집기(메모장 등)를 열고 아래 내용을 입력합니다:
자신의 pub id 등등 전체를 넣으면 됨.
- google.com, pub-1234567890123456, DIRECT, f08c47fec0942fa0
- 여기서 pub-1234567890123456 부분은 본인의 게시자 ID로 대체해야 합니다.
- 파일을 ads.txt라는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 저장 시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선택하고, 인코딩은 "UTF-8"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2단계: 티스토리에 ads.txt 파일 업로드하기
- 티스토리 블로그에 로그인하여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꾸미기 > 스킨편집을 클릭합니다.
- 오른쪽 상단의 HTML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상단 메뉴에서 파일업로드를 선택합니다.
- 하단의 +추가 버튼을 클릭한 후, 앞서 저장한 ads.txt 파일을 선택하여 업로드합니다.
- 업로드가 완료되면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사항을 저장합니다.
✅ 3단계: 업로드 확인하기
Google AdSense에 로그인하여 좌측 <사이트>를 클릭합니다.
다시, <사이트 url> 아래 자신의 <티스토리 주소>를 클릭합니다.
<ads.txt 감지됨> 에서 <업데이트 확인> 을 클릭.
--- 끝
✅ 4단계: Google의 인식 대기
Google이 ads.txt 파일을 인식하는 데는 최대 24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이후 AdSense 계정의 사이트 섹션에서 오류 메시지가 사라졌는지 확인하세요.
⚠️ 추가 팁
- robots.txt 파일이 ads.txt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있지 않은지 확인하세요.
- robots.txt에 Disallow: /ads와 같은 항목이 있다면 제거해야 합니다.
-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AdSense의 크롤러 액세스 설정을 확인하거나, Google 지원팀에 문의하세요.
더 자세한 안내는 Google AdSense 고객센터의 ads.txt 문제 해결 도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