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연구/요한계시록의 전반적 구조와 신학적 의미2 요한계시록과 다니엘서의 관계성 1. 예언적 비전의 연속성 요한계시록과 다니엘서는 성경의 대표적인 묵시문학으로, 하나님의 종말론적 계획을 드러냅니다. 다니엘서의 '네 짐승의 환상'(단 7장)은 요한계시록의 '바다에서 올라온 짐승'(계 13장)과 연결되어 세상 제국의 흥망성쇠를 예언합니다. 특히 다니엘서의 히브리어 '하존(חָזוֹן)'과 요한계시록의 헬라어 '아포칼립시스(ἀποκάλυψις)'는 모두 '계시'를 의미하며, 두 책이 동일한 영적 계시의 맥락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니엘이 본 '인자 같은 이'(단 7:13)의 환상은 요한이 본 영광스러운 그리스도의 모습(계 1:13-16)과 연결됩니다. 이는 예수님의 재림과 최후 심판의 권위를 예표합니다. 두 책 모두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환난 중에도 신실함을 지키라는 메시지를 전하며, 궁극.. 2025. 3. 13. 요한계시록의 핵심 주제: 심판, 구원, 재림 1. 최후의 심판: 의인과 악인의 갈림길요한계시록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강력하게 선포하는 책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세상의 죄악을 심판하시고, 악인과 의인을 분명히 구별하십니다.특히, 요한계시록 20장에 등장하는 백보좌 심판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두려운 순간 중 하나입니다. 이 심판대 앞에서 모든 사람은 자기 행위대로 심판을 받습니다(계 20:12). 생명책에 기록되지 않은 자들은 불못에 던져지게 되며(계 20:15), 이것이 곧 영원한 지옥의 형벌입니다. 이와 유사한 장면이 예수님의 비유 속에서도 등장합니다. 마태복음 25장에서는 예수님께서 마지막 심판 날에 양과 염소를 나누듯이 의인과 악인을 구별하신다고 하셨습니다(마 25:31-33).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오직 공의로만 심판하지 않으시고, 회개의 기.. 2025. 3.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