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0

* 세대주의 전천년설과 역사적 전천년설의 차이점 및 언약 관계 세대주의 전천년설과 역사적 전천년설의 차이점 및 언약 관계종말론과 관련하여 전천년설(Premillennialism)은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이 천년왕국(Millennium) 전에 일어난다고 믿는 견해다. 그러나 전천년설 내부에서도 크게 **세대주의 전천년설(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과 **역사적 전천년설(Historic Premillennialism)**로 나뉘는데, 이 두 견해는 천년왕국과 이스라엘의 역할, 언약 관계 등에 대해 서로 다른 해석을 제공한다.1. 세대주의 전천년설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1) 기본 개념세대주의 전천년설은 **존 넬슨 다비(John Nelson Darby)**와 C.I. 스코필드(C.I. Scofield.. 2025. 2. 14.
Υ. 요한계시록과 초대교회의 박해: 신앙을 위한 위로와 소망 1. 로마 제국의 박해와 초대교회의 시련초대교회는 로마 제국의 강력한 탄압을 받으며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도미티아누스 황제(주후 81~96년) 시기에 박해가 극심하였으며, 사도 요한은 이로 인해 밧모 섬으로 유배되었습니다. 이러한 박해는 교회 내에 외적 시련뿐만 아니라, 영지주의와 같은 이단 사상의 침투로 인한 내적 혼란도 야기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도들은 온전한 복음을 전하고, 성도들에게 신앙의 본질을 지키도록 권면하였습니다. "너는 장차 받을 고난을 두려워하지 말라. 볼지어다, 마귀가 장차 너희 가운데에서 몇 사람을 옥에 던져 시험을 받게 하리니, 너희가 십 일 동안 환난을 받으리라. 네가 죽도록 충성하라. 그리하면 내가 생명의 관을 네게 주리라." (요한계시록 2:10) 요한계시록은 이러한 .. 2025. 2. 14.
Τ. 요한계시록과 현대 사회: 종말론적 신앙의 적용 1. 요한계시록의 배경과 현대적 의미요한계시록은 사도 요한이 밧모 섬에서 받은 계시로, 당시 로마 제국의 박해 속에서 고난받는 교회와 성도들에게 주어진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입니다. 이 책은 상징적인 언어와 이미지를 통해 하나님의 궁극적인 승리와 그리스도의 재림을 예언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우리는 다양한 도전과 유혹에 직면해 있으며, 요한계시록의 메시지는 이러한 상황에서 신앙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요한계시록 2장과 3장에는 아시아의 일곱 교회에 대한 예수님의 평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중 라오디게아 교회는 부유하지만 영적으로 미지근한 상태였고, 예수님은 이를 강하게 책망하셨습니다(요한계시록 3:15-16). 현대 교회와 성도들도 세속적인 부유함과 안일함에 빠지지 않도록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또한, .. 2025. 2. 13.
Σ. 새 예루살렘의 의미와 영광스러운 결말 1. 새 예루살렘의 의미: 하나님의 영원한 거처새 예루살렘은 요한계시록 21장 2절에서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이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니"라고 묘사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과 함께 거하시기 위해 마련하신 영원한 거처를 의미합니다. 이 도성은 "신부가 남편을 위하여 단장한 것 같더라"는 표현처럼,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상징합니다. 이러한 묘사는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과 영원히 함께하실 것을 나타내며, 이는 구약에서 예언된 하나님의 임재의 완전한 성취를 보여줍니다. 히브리서 11장 10절에서는 아브라함이 "하나님이 계획하시고 지으실 터가 있는 성을 바랐다"고 언급되는데, 이는 새 예루살렘을 향한 믿음의 선조들의 소망을 나타냅니다. 또한, 다윗도 이 땅의 성전을 건축하는 것.. 2025. 2. 12.
Ρ. 최후의 전쟁, 아마겟돈 전쟁: 의미와 요한계시록의 재앙들 1. 아마겟돈 전쟁의 배경과 의미: 종말론적 대격돌아마겟돈 전쟁은 요한계시록에 등장하는 인류 최후의 전쟁을 상징하며, 단순한 국가 간의 갈등을 넘어 선과 악, 하나님과 사탄의 궁극적인 대결을 의미합니다. 아마겟돈은 이스라엘 북부 므깃도 평야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역사적으로 수많은 전투가 벌어졌던 곳입니다. 요한계시록에서는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열국이 모여 마지막 전쟁을 벌이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요한계시록 16장 16절은 "세 영이 히브리어로 아마겟돈이라고 하는 곳으로 왕들을 모으더라"라고 기록하며, 아마겟돈 전쟁이 영적인 세력의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것임을 시사합니다. 이 전쟁은 세상의 종말과 함께 그리스도의 재림, 최후의 심판으로 이어지는 종말론적 사건의 일부로 이해됩니다. 아마겟돈 전쟁은 요한계시록의.. 2025. 2. 12.
Π.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하나님의 보좌와 천상의 예배 요한계시록은 신약성경의 마지막 책으로, 사도 요한이 밧모 섬에서 계시를 받고 기록한 종말론적인 책입니다. 이 책에는 하나님의 보좌와 천상의 예배에 대한 강렬한 묘사가 나오며, 성도들이 하나님을 어떻게 경배해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특히 요한계시록 4~5장은 하나님의 보좌와 그 주변의 영광스러운 장면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신자들에게 천상의 경배가 어떠한지를 가르쳐 주는 중요한 본문입니다.이 글에서는 요한계시록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보좌와 천상의 예배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1. 하나님의 보좌: 절대적인 권위와 영광요한계시록 4장 2절에서 사도 요한은 "내가 곧 성령에 감동되었더니 보라 하늘에 보좌를 베풀었고 그 보좌 위에 앉으신 이가 있는데"라고 말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절대적인 통치.. 2025.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