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 Λ. 어린양의 혼인 잔치: 구원의 완성과 영광스러운 종말 1. 구원의 완성어린양의 혼인 잔치는 인류 구원의 역사가 절정에 이르는 순간을 상징하며, 예수 그리스도와 신부인 교회가 하나로 연합하는 영원한 언약의 성취를 보여줍니다. 요한계시록 19장 7절에서는 “우리가 즐거워하고 크게 기뻐하여 그에게 영광을 돌리세 어린양의 혼인 기약이 이르렀고 그 아내가 자신을 준비하였으므로”라고 선포되어, 그리스도의 재림과 함께 온 인류에게 약속된 구원의 완성이 드러납니다.이 잔치는 단순한 잔치 이상의 의미로, 오랜 기다림과 인내 끝에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의 충만한 결실임을 나타내며, 신약과 구약의 언약적 메시지가 하나로 통합되는 신비로운 사건입니다. 구약의 아가서에서는 “내 사랑하는 자는 내게 속하였고 나는 그에게 속하였도다”라는 표현을 통해 하나님과 그의 백성 간의.. 2025. 2. 10. Κ. 새 하늘과 새 땅: 하나님의 최종 계획과 천국의 모습 1. 새 하늘과 새 땅의 도래 (요한계시록 21:1)요한계시록 21장 1절에서 사도 요한은 "또 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보니 처음 하늘과 처음 땅이 없어졌고 바다도 다시 있지 않더라"라고 선언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창조 세계를 완전히 새롭게 하시겠다는 약속을 이루시는 순간입니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죄로 인해 타락하고 부패하였으며, 하나님의 심판을 통해 옛 질서는 사라지고, 완전히 새로운 피조물이 도래할 것입니다. 이러한 개념은 이사야 65:17에서도 예언되었습니다. "보라 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나니 이전 것은 기억되거나 마음에 생각나지 아니할 것이라." 이는 하나님께서 단순한 개선이 아닌, 완전한 새 창조를 약속하신 것입니다. 현재의 세계가 가진 아픔과 고통이 영원히 사라지고, .. 2025. 2. 10. Ι. 요한계시록에 등장하는 666과 적그리스도의 정체 1. 666과 적그리스도의 의미"지혜가 여기 있으니 총명한 자는 그 짐승의 수를 세어 보라 그것은 사람의 수니 그의 수는 육백육십육이니라" (요한계시록 13:18) 요한계시록에서 가장 상징적인 숫자 중 하나인 666은 적그리스도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이 숫자는 요한계시록 13장에서 등장하며, 짐승의 표를 받은 자들이 하나님을 배척하고 짐승을 경배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666은 인간의 불완전함과 하나님을 대적하는 세력을 나타내며, 성경에서는 완전함을 의미하는 7에 비해 6이 반복됨으로써 불완전함과 반역의 극치를 보여줍니다. 666이라는 숫자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어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지만, 많은 신학자들은 이것이 당시 로마 황제 네로를 암시하거나, 종말의 때에 등장할 궁극적인 적그리스도를 상징한다.. 2025. 2. 8. 연말정산 미리보기 연말정산 미리보기는 ~~~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2025. 2. 8. Θ. 요한계시록과 다니엘서의 예언 비교 분석 1. 요한계시록과 다니엘서의 종말 예언 개요"내가 밤 이상 중에 보았는데 인자 같은 이가 하늘 구름을 타고 와서 옛적부터 계신 이에게 나아와 그 앞에 인도되매" (다니엘 7:13) 요한계시록과 다니엘서는 모두 종말론적인 예언을 담고 있는 성경의 중요한 책입니다. 요한계시록은 신약의 마지막 책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과 하나님의 최후 심판에 대해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반면 다니엘서는 구약의 예언서로, 바벨론 포로 시대에 기록된 미래의 왕국들과 종말의 때에 관한 신비로운 환상들을 담고 있습니다. 두 책은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특히 다니엘서 7장의 "네 짐승의 환상"과 요한계시록 13장 1절의 "내가 보니 바다에서 한 짐승이 나오는데 뿔이 열이요 머리가 일곱이라 그 뿔에는 열 왕관이 있고 그 .. 2025. 2. 7. Ζ . 일곱 대접 심판과 하나님의 최후의 심판 1. 일곱 대접 심판의 의미와 하나님의 공의"또 내가 하늘에서 다른 큰 음성을 들으니 가로되 가서 하나님의 진노의 일곱 대접을 땅에 쏟으라 하더라" (요한계시록 16:1)요한계시록 16장에서 등장하는 "일곱 대접 심판"은 하나님의 마지막 진노의 표현으로, 세상 끝날에 있을 최후의 심판을 예고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인간의 죄악을 공의롭게 심판하시는 과정으로, 악한 자들에게는 형벌이,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승리가 나타나는 장면입니다. 일곱 대접은 각각 다른 재앙을 의미하며, 종말의 때에 일어날 강력한 심판을 상징합니다. 첫째 대접부터 일곱째 대접까지의 재앙은 자연과 인간 사회에 대한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출애굽 당시 애굽에 내린 열 가지 재앙과 유사성을 보입니다. 이러한 심판은 하나님의 공의가.. 2025. 2. 7. 이전 1 ··· 4 5 6 7 8 다음